안녕하세요, 여론조사전문기관 미디어토마토입니다.
K-정책금융연구소 의뢰로 대한민국 에너지정책 대국민 인식 조사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짧은 조사이오니, 바쁘시더라도 조사에 참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1. 선생님의 연령대가 다음 중 어떻게 되십니까
02. 선생님의 성별은 무엇입니까?
03. 우리나라 대기업의 수출경쟁력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요?
04. 우리나라 제조 중소기업의 수출경쟁력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요?
05. 우리나라 벤처기업의 경쟁력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는 무엇이라 생각하시는지요?
06. 2025년 1월 현대제철이 미국에 대규모 제철소 투자를 하기로 하였습니다. 이에 대한 가장 큰 요인은 무엇이라 생각하시나요?
07. 2024년 10월 24일부터 산업용(을)의 전기요금이 1kWh당 182.7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이는 2022. 1분기 요금에 비해 76% 인상된 수준입니다. 현재 산업용 전기요금의 수준은 어떠한가요?
08. 미국 평균 전기료는 평균 1kWh당 112원 정도로 우리나라 요금에 비해 3분의2 수준입니다. 이러한 요금체계 하에서 한국 제조기업의 미국으로 이전(移轉)은 어떻게 될까요?
09. 최근 통과된 에너지 3법 중 해상풍력 특별법과 전력망 특별법은 산업용 전기요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까요? 참고로, 해상풍력의 1kWh당 발전원가는 276원 정도로 원자력 발전원가에 비해 5배 정도입니다.
10. 2024년도 대한민국 에너지 공기업이 추진 중인 해상풍력발전의 사업비는 총 85조원 입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요?
11. 현재 공기업이 추진하는 해상풍력사업 및 태양광사업의 시설원가를 낮추기 위해 중국 등 해외 생산제품을 수입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12. 2025년 3월 기준 한국전력공사의 부채는 205조를 기록하였습니다. 한전의 부채의 규모는 적절한가요?
13. 한국전력공사를 비롯한 에너지공기업의 사채발행이 규모가 줄면 금융시장에서 중소기업의 자금조달이 유리해질까요?
14. 차기 정부의 에너지정책 중 원자력에 대해서는 어떤 의견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15. 전력을 생산하는 대기업들은 한전 이외의 전력판매회사를 별도로 운영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이러한 움직임이 현실화 되었을 때, 가정용 전기요금에 대한 전망은 어떠하십니까?